경교장 관람기
경교장에 다녀왔습니다. 위치는 요기.
돈의문박물관 마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가깝습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과 붙어 있습니다.
병원앞에 있는 달.
경교장 건물.
삼성병원 건물과 대조되어 보이는 근대식 건물.
월요일은 휴관-
경교장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숙소이자 환국 후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
입구에 들어가면 백범 김구 선생님의 동상이 있습니다.
관람 순서는 1층 - 지하 - 2층 순서인가 봐요-
각층의 구조도.
1층의 응접실.
옛 시기를 지나온 만큼 고풍스런 느낌이 납니다.
귀빈식당.
1945년 12월 2일 임시정부의 공식만찬 개최.
김구 선생님이 서거하셨을 때 빈소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2층으로 가는 계단과 지하전시실이 있는데
순서에 따라 지하전시실 먼저.
내려가는길.
대한민국 정부는 제헌헌법 전문을 통해 "1919년 수립된 임시정부를 계승하였다"는 사실을 밝혀 놓았고,
국호(대한민국) / 연호(대한민국) / 국기(태극기) / 애국가도 그대로 이어받았다
태극기가 보입니다.
김구 혈의.
김구 선생님이 안두희의 저격을 받아 서거할 당시 입고 계셨던 저고리라고 해요.
2층가는 길.
2층에도 서재 겸 응접실이 있습니다.
국무위원회가 개최되었던 곳.
테이블에는 이곳에서 찍은 김구선생님 사진이 있습니다.
응접실 옆으로는 임시정부 요인 숙소가 있어요-
응접실 옆으로는 임시정부 요인 숙소가 있어요-
1949년 6월 29일 경교장에 울린 총성.
서거 직후의 모습과 애도하는 사람들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창가의 책상인데요-
바로 이 자리에서 육군소위 안두희의 흉탄에 맞아 서거하셨다고 합니다.
좀찾아보니
경교장의 원래 이름은 죽첨장. 일본식이름이라고 하며, 금광으로 천만장자가 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최창학의 소유였다고 합니다.
일본이 패망하고 친일활동 행적에 두려움이 있었는지
광복후 자신의 별장인 죽첨장을
사저로 제공했다고 합니다.
김구 선생님 서거후 주한 대만대사, 월남 대사 대여,
삼성병원 소유 병원시설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어 오다
역사적 가치가 있어 보존 의견으로 복원 되었다고 해여-
시청이나 덕수궁, 정동길 쪽 놀러오시면 경교장 꼭 한번 들러보세여-
경교장 관람기 끗-
'여행_마실 >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정역 외국인선교사묘원 방문기 (0) | 2025.03.28 |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안중근 서 관람기 (0) | 2025.03.04 |
예술의전당 한가람 미술관 고흐 카라바조 관람기 (1) | 2024.12.17 |
스튜디오 지브리 타카하타 이사오전 관람기 (0) | 2024.07.29 |
부암동 기생충 촬영지 방문기 (2) | 2024.04.19 |
댓글